설교요약 :
눈으로 주를 보게 하는 고난
“욥이 여호와께 대답하여 이르되 주께서는 못 하실 일이 없사오며 무슨 계획이든지 못 이루실 것이 없는 줄 아오니 무지한 말로 이치를 가리는 자가 누구니이까 나는 깨닫지도 못한 일을 말하였고 스스로 알 수도 없고 헤아리기도 어려운 일을 말하였나이다 내가 말하겠사오니 주는 들으시고 내가 주께 묻겠사오니 주여 내게 알게 하옵소서 내가 주께 대하여 귀로 듣기만 하였사오나 이제는 눈으로 주를 뵈옵나이다 그러므로 내가 스스로 거두어들이고 티끌과 재 가운데에서 회개하나이다”(욥 42:1-6)
고난의 신학: 징벌적 고난과 계시적 고난
모든 사람이 고난을 겪는다. 그래서 고난이라는 주제는 신학자들에게도, 일반인들에게도 매우 중요하다. 만약 우리가 고난을 잘못 이해하고 있다면 고난을 만날 때 바르게 대처할 수 없을 것이다. 그래서 고난에는 적어도 다음 두 가지 형태가 있다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하나는 징벌적 고난이다. 하나님은 하나님의 백성들이 잘못된 길로 가는 것을 멈추게 하실 때 고난이라는 방법을 사용하신다. 다른 하나는, 계시적 고난이다. 하나님은 성도가 믿음으로 고난을 이겨가는 모습을 통해 하나님이 살아계심을 이 세상에 증명하신다. 우리는 욥의 고난을 통해 성도가 계시적 고난 안에 있을 때 어떻게 믿음을 보여야 하는지를 배우려 한다.
잘못된 팻말
욥기의 주제도 의인이 고난 가운데 승리함으로 두 배의 복을 받았다는 것이 아니다. 만약 그렇다면 1장, 2장, 42장만 있어도 충분하였을 것이다. 욥기에서 정작 중요한 곳은 3장부터 41장까지다. 욥은 고난의 땅에서 살아계신 하나님을 자신의 인생을 통해 증명하였다. 그것이 하나님이 그에게 주신 사명이었다.
우리가 욥의 고난 가운데 인간적인 믿음과 축복만이 강조한다면 ‘욥이니까 그렇게 했지, 나는 못해’라며 오히려 하나님으로부터 도망가고 싶을 것이다. 그러나 하나님께서 우리의 고난을 통해 하나님이 온 세상의 창조주이시며 주권자라는 사실을 선포하길 원하신다면, 그리고 그것이 나를 향한 창조주 하나님의 뜻이라면, 우리는 ‘하나님, 제가 그 길을 믿음으로 걸어갈 수 있도록 도와주십시오’라고 기도할 수 있을 것이다.
욥의 인생
먼저 욥이 어떤 사람이었는지 살펴보자. 그는 우스 땅에 거하던 이방인이었지만 놀라운 신앙과 인격을 지닌 사람이었다. 성경은 욥이 신앙과 인격이 온전하고 정직하여 하나님을 경외하며 악에서 떠난 자라고 밝힌다(욥 1:1, 8). 이는 욥의 고난이 그의 죄 때문이 아님을 알리는 것이다. 하나님의 특별한 목적으로 고난이 그에게 임했다.
욥기의 중심 주제
욥기의 중심 주제가 의인의 고난과 축복이 아니라면 우리가 던져야 할 질문은 이것이다. “왜 하나님은 그렇게 온전한 자에게 그토록 극심한 고난을 허락하셨는가.” “만약 하나님이 의인에게 이렇게 고난을 주신다면 우리는 그분이 공의롭고 선하다고 할 수 있는가.” 욥기는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가는 과정이다.
욥기 1장과 2장, 42장은 서론과 결론으로 욥의 인생과 그의 고난, 그리고 고난의 해결을 산문 형식으로 기록한다. 그리고 그 사이에는 욥과 세 친구가 대화하는 사이클이 세 번 나오고, 28장에는 이른바 지혜의 시가 담겨 있는데, 인간의 지혜로는 욥이 왜 고난 당하는지 알 수 없고 오직 하나님만 아신다고 말한다. 그리고 세 개의 독백(욥의 독백, 엘리후의 독백, 하나님의 독백)이 이어진다. 이 독백들을 통해 욥의 고난의 문제가 하나씩 해결되고 38장에서 하나님이 등장하심으로 욥의 모든 문제가 해결된다.
계시적 고난의 의미
이러한 전체적인 구조 속에서 하나님이 욥에게 고난을 주신 목적을 살펴보자. 하나님은 사탄에게 욥을 소개하였다(욥 1:8). 사탄은 욥이 하나님이 주신 복으로 인해 하나님을 경외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그리고 그것을 거두어 가기를 요청하고 하나님은 허락하신다. 하나님의 하나님 되심을 증명하기 위해서는 아무런 물질적 복이 없어도 하나님을 경외하는 성도가 있어야 한다. 만약 복을 줄 때만 하나님을 경배한다면 그것은 우상을 섬기는 것과 다름이 없다. 욥은 자녀를 잃고 모든 소유를 빼앗긴 때에도 하나님을 원만하지 않았다(욥 1:21-22). 사탄의 1패.
사탄은 이제 욥의 몸을 치기를 요청한다. 그러나 이때에도 욥은 범죄하지 않았다(욥 2:10). 사탄의 2패. 그리고 더 이상 사탄은 등장하지 않는다.
욥은 고난 가운데 하나님의 하나님 되심, 자신이 진짜 성도임을 증명하였다. 그러나 그도 우리와 같은 성정을 지닌 인간이었다. 3장에서부터 자신의 연약함을 보인다. 고난이 끝나고 나서 주의해야 한다. 고난이 마무리될 즈음, 마음속에 원망과 분노, 슬픔과 고통이 일어나 좌절하고 절망할 때가 많다. 욥은 자신의 생일을 저주하였고 세 친구와 논쟁을 벌인다.
우리는 욥기 3장-27장까지에서 굉장히 중요한 원리를 깨닫는다. 첫째, 고난의 때에 입을 닫아야 한다. 입을 열어 불평하고 무언가를 설명하려는 순간, 이미 다 끝난 고난이 다시 한번 큰 아픔으로 다가온다. 둘째, 우리는 고난의 이유는 알 수 없다. 하나님은 왜 그러한 고난을 욥에게 주셨는지 설명하지 않으셨다. 그것은 하나님의 주권에 속하기 때문이다.
그러면 우리가 고난 중에 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하나님은 등장하셔서 욥에게 계속 질문을 던지신다. 그리고 이렇게 물으신다. “너는 대장부처럼 허리를 묶고 내가 네게 묻겠으니 내게 대답할지니라 네가 내 공의를 부인하려느냐 네 의를 세우려고 나를 악하다 하겠느냐”(욥 40:7-8). 70번 이상 쏟아지는 질문에 욥은 이렇게 답한다. “욥이 여호와께 대답하여 이르되 주께서는 못 하실 일이 없사오며 무슨 계획이든지 못 이루실 것이 없는 줄 아오니”(욥 42:1-2).
욥은 이전에 하나님을 자신의 신학 안에 가두었다. ‘하나님 이렇게 하시면 안 됩니다. 해명해 주십시오.’ 이제 창조주 하나님을 만나고 나니 하나님의 계획에는 이루어지지 않을 일이 없음을 말한다. 그분은 나의 인생의 계획자이며, 설계자이고 창조주이시다. 나의 고난까지도 하나님의 놀라운 계획 안에서 시작되었다는 믿음, 이것이 성도가 이해할 수 없고 감당할 수 없는 고난을 이길 유일한 힘이다.
맺는말
결국 욥은 이렇게 고백한다. “내가 주께 대하여 귀로 듣기만 하였사오나 이제는 눈으로 주를 뵈옵나이다”(욥 42:5). 욥은 고난을 통해서 하늘에서는 하나님의 하나님 되심을 증명하였고, 이 땅에서는 하나님을 눈으로 보게 되었다. 자신의 삶 가운데 살아계신 하나님을 만난 것이다. 이것이 하나님께서 성도에게 고난을 주신 이유다. 하나님을 더 가까이, 더 친밀하게, 그리고 더 정확하게 알게 하기 위해서이다.